♣ 역사(歷史) 마당 ♣ 1457

[러시아의 성 이삭 성당을 40년에 걸쳐 건설하고 그곳에 묻히길 바랐으나 러시아 정교 신자가 아니란 이유로 거절되어 고국 프랑스에 묻힌 건축가] 오귀스트 드 몽페랑[Auguste de Montferrand]

[오귀스트 드 몽페랑] Auguste de Montferrand January 23, 1786 – July 10, 1858) was a French classicist architect who worked primarily in Russia. His two best known works are the Saint Isaac's Cathedral and the Alexander Column in St. Petersburg. Montferrand died in St. Petersburg in 1858, the year St. Isaac's Cathedral was completed. His desire to be buried in the vault of that cathedral could not be exe..

[두 여인:대문호 도스토옙프스키와 푸시킨의 아내]안나 스니트키나/나탈리아 곤차로바

안나 그리고리예브나 도스토옙스카야(러시아어: Анна Григорьевна Достоевская (1846년 9월 12일 ~ 1918년 6월 9일)는 러시아의 회고록 저자, 속기사로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두 번째 아내이다. 결혼 전 성은 스니트키나이다. 안나 스니트키나는 학교에 다닐 무렵부터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을 무척 좋아하였는데, 그녀의 친구들은 소설의 여주인공 이름을 따서 안나를 네토츠카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하였다.[1] 안나는 20세에 당시 빚으로 인해 출판업자에게 소설을 제때 넘기지 못하면 모든 저작권을 몰수당할 위기에 놓여 있던 도스토옙스키에게 속기사로 고용되었다. 도박꾼(1866년), 죄와 벌(1866년)은 도스토옙스키가 구술하면 그녀가 속기하고 다시 정서하는 방식으로 집필되었다. 안나는 총..

[러시아의 안네 프랑크로 불리운 소녀]타냐 사비체바

타냐 사비체바 타냐 사비체바(본명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사비체바. Татьяна Николаевна Савичева, 1930.1.23~1944.7.1)는 레닌그라드에서 제빵사 니콜라이(1936년 사망)와 재봉사 마리야의 다섯 아이들[10] 중 막내딸이자 가수가 꿈이었던 열한 살 소녀였다. 하지만 독일군의 포위가 시작되자 이 소녀는 평생 꿈을 이룰 수 없게 되어 버렸다. 독일군의 공습 이후 작은 언니 니나가 돌아오지 않자 그녀의 어머니는 타냐에게 니나의 수첩을 주었고 타냐는 거기에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타냐는 그 전에도 두꺼운 공책에 일기를 쓰고 있었지만, 나무도 석탄도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 땔감 대용으로 써버렸기 때문에 저 수첩이 유일하게 남은 일기장이 되었다. 다음은 일기의 일부이다. 1941년 1..

[고대:우리가 알고 있는 알렉산더 대왕의 적자]알렉산드로스 4세(Aleksandros IV)

알렉산드로스 4세(고대 그리스어: Αλέξανδρος Δ, 고대 그리스어: Aleksandros IV, 기원전 323년 - 기원전 309년, 재위 동일)은 마케도니아 왕국 아르게아스 왕조의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3세(대왕)와 왕비 록사네의 적자로 아르게아스 왕조의 마지막의 마케도니아 왕이다. 알렉산더 대왕과 록사네 [출생]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급사했을 때, 왕비 록사네는 임신 중이었지만 태어날 아이의 성별이 밝혀지지 않기 때문에 남겨진 마케도니아 장군들 사이에서 왕위 계승 순서에 대한 의견이 대립했다. 향후의 체제를 결정하기 위해 개최된 바빌론 회의에서 보병과 그들에게 가담한 장군 멜레아그로스는 아리다이오스(독살 미수로 지적 장애인이 되어 사실상 왕위 계승권을 잃은 대왕의 배다른 형)의 ..

[아일랜드-콩고 내전에 유엔 평화유지군으로 파견된 아일랜드군 150명이 치른 전투 ]자도빌 전투[Siege of Jodotville]

자도빌 전투[Siege of Jodotville] Siege of Jadotvill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1. 개요 1960년대 콩고 내전이 발발하자 유엔 평화유지군 소속으로 처음 파병된 아일랜드군 150명이 카탕가 반군과 프랑스,벨기에, 로디지아측 백인 용병단 3000명과 맞서 싸운 전투이다.[The siege of Jadotville [ʒa.do.vil] was an engagement which occurred in September 1961 in which a small contingent of Irish troops serving as part of the United Nations Operation in the Congo (Opération des N..

[주한 대리공사,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의 실제 모델]조지 클레이턴 포크(George Clayton Foulk)

조지 클레이턴 포크(George Clayton Foulk, 1856년 10월 30일 ~ 1893년)는 조선에 파견된 미국 공사관의 무관으로, 대리공사를 역임했다. 한자 이름은 복구(福久)이다.[1] [George Clayton Foulk (October 30, 1856 – 1893) was a United States Navy officer and U.S. Naval Attache to the Kingdom of Korea in 1876. He also served as chargé d'affaires to the Kingdom of Korea in the absence of the American minister or consul.] 초기 포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마리에타(Marietta)에서 태어났..

[노르웨이: 2차대전기 나치에 부역하여 종전 후 처형당한 매국노]비드쿤 크비슬링(Vidkun Quisling)

비드쿤 크비슬링[Vidkun Quisling} Photograph of Quisling, circa 1919 비드쿤 아브라함 레우리츠 욘쇤 크비슬링(노르웨이어: Vidkun Abraham Lauritz Jonssøn Quisling [ˈvidkʉn ˈkvisliŋ][*], 1887년 7월 18일 ~ 1945년 10월 24일)은 노르웨이의 정치가이자 군인이다. 텔레마르크주 출생이며 1942년 2월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노르웨이 정부가 런던에 망명해 있는 동안 독일 점령하의 노르웨이에서 총리직을 지냈다. 종전 후 반역죄로 총살되었다.[위키백과 발췌] ----------------------------------------------------------- 제2차 세계대전중에 독일군이 노르웨이를..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천연두를 퍼뜨려 죽게 한 전쟁]폰티액 전쟁(Pontiac's War)

[폰티액 전쟁] Pontiac's War Part of the American Indian Wars In a famous council on April 27, 1763, Pontiac urged listeners to rise up against the British (19th century engraving by Alfred Bobbett) [1763년 4월 27일 , 영국에 대한 궐기를 호소하는 폰티액의 모습을 그린 상상도] 폰티액 전쟁(Pontiac's Rebellion)은 프렌치 인디언 전쟁과 7년 전쟁(1754-1763)이 끝난 후 영국의 오대호 지방 통치에 불만을 품은 인디언이 침략자인 영국 백인 대해 1763년에 도발을 감행한 “인디언 전쟁”이다. 목차 1개요 2명칭 3원인 3.1참여 부족 ..

[시베리아 정복 기초를 닦은 탐험가]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Yermak Timofeyevich]

17th century portrait of Yermak, the first Russian leader of the exploration and conquest of Siberia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러시아어: Ермак Тимофеевич, ?~1585년)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의 기초를 닦은 탐험가이다. 처음 돈 코사크의 대장으로서 볼가 강 유역에서 활동하고 있었는데 정부군에 쫓겨 카마 강 유역으로 도망쳤다. 이 곳의 영주 스트로가노프가 1581년에 동방 원정대를 조직하자 그는 대장으로 기용되어 우랄 산맥을 넘어 시비르 한국을 치고 수도를 점령했다. 이 공으로 이전의 죄를 용서받고, 이반 뇌제(雷帝)에 의하여 시비르 공(公)에 봉해졌다. 후에 시비르 칸 쿠춤의 습격을 받아 도주하다가 이르티시 강에..

[러시아를 240년간의 몽골 지배로부터 벗어나게 한 왕]이반 3세(Ivan III of Russia)

Ivan III of Russia Portrait from the 17th-century Titulyarnik 이반 3세 벨리키(러시아어: Иван III Великий)는 (1440년 1월 22일 ~ 1505년 10월 27일)는 모스크바 대공과 전 루스의 대공(러시아어: Великий князь всея Руси)이다. 모스크바 대공으로서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트베리 대공국을 비롯한 여러 루스 공국을 쳐서 영토를 확장했으며 북동 루스를 통일하였다. 이반 3세의 시대에 드디어 모스크바는 킵차크 칸국의 지배에서 벗어났으며 훗날 러시아 제국이 되는 모스크바 대공국의 기초를 닦았다. 비잔티움 제국 마지막 황제의 조카딸 소피아와 결혼하여 비잔티움 제국의 후계자로 칭하고, 비잔티움 문화를 받아들여 모스크바 문화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