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글 모음♣ 752

차암수정(此庵守淨/宋), <게(偈)> (二十七首其一十六)

流水下山非有意 片雲歸洞本無心 (우수하산비유의 편운귀동본무심) 人生若得如雲水 鐵樹開花遍界春 (인생약득여운수 철수개화편계춘) 물이 산 아래로 흘러감은 뜻이 있어서가 아니요 구름이 골짜기로 돌아감도 본래 아무 마음 없음이라 사람의 삶이 구름과 물 같을 수 있다면 무쇠나무..

[차이나 인사이트] 중국사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아시아가 보인다

우리는 중국(中國)의 동쪽에 있는 나라란 뜻으로 동국(東國)을 자처했다. 『동국통감(東國通鑑)』과 『동사강목(東史綱目)』 등이 나온 배경이다. 내가 나를 중심으로 세상을 보면 내가 중앙이 되는데 우리 스스로 변방 국가라 말한 셈이다. 왜 그랬나. 중국인이 자기 자신을 중국인이라 ..

[유성운의 역사정치] 왕안석의 친서민 개혁은 왜 실패했을까

중국 송나라 신종 시대에 활약한 왕안석(王安石)은 중국 역사상 가장 논쟁적 인물입니다.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치가”(량치차오&#8231;梁啓超)에서 “사직(社稷)의 죄인이자 백성의 적(사마광·司馬光)”까지 그를 둘러싼 평가는 극과 극을 오갔습니다. 심지어 그가 당대에 만들어..

[스크랩] 조정을 진동시킨 상소문 한 장 - 1555년 조식의 단성현감 사직 상소문

조정을 진동시킨 상소문 한 장 - 1555년 조식의 단성현감 사직 상소문 신병주(중세사 2분과) 1555년 조정에 올라온 한 장의 상소문은 정국을 요동치게 했다. 상소문의 주인공은 남명 조식(&amp;#26362;&amp;#26893;:1501~1572). 퇴계 이황과 함께 당대에는 영남학파의 양대 산맥으로 우뚝 섰던 인물이었..

[스크랩] 노장의 생사관을 통해 본 한국민요 고찰

. 노장의 생사관을 통해 본 한국민요 고찰 하 영 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이 영 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 노자의 생사관 Ⅲ. 장자의 생사관 Ⅳ. 노장의 생사관 전개와 한국민요 1. 노장의 생사관 전개 2. 노장의 생사관과 한국민요 Ⅴ. 맺음말 &l..

[스크랩] 「김수영의 戀人」 김현경이 고른 「김수영의 詩」

. 문학산책 「김수영의 戀人」 김현경이 고른 「김수영의 詩」 “시는 온몸으로, 바로 온몸으로 밀고나가는 것”이라고 일갈한 김수영의 시는 시대마다 다르게 호출돼 울린다. 김수영의 아내 김현경은 1960년 8월 김수영이 쓴 시 ‘가다오 나가다오’를 낭송해보라고 했다. “루스벨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