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문신]윤순지(尹順之) 윤순지 조선 통신사 인물[숨기기] 임광 윤순지 조형 윤지완 홍치중 조엄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요시무네 아메노모리 호슈 유적[숨기기] 대마도 도모노우라 우시마도 오미하치만 v • d • e • h 윤순지(尹順之, 1591년 ~ 166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해평(海平)이..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6.01.05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녀/황녀 목록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녀/황녀 목록 추존왕 목조 소생 - 추존왕 익조 소생 안의공주 - 추존왕 도조 소생 문혜공주 | 문숙공주 | 문의공주 - 추존왕 환조 소생 정화공주 - 태조 소생 경신공주 | 경선공주 | 경순공주 숙신옹주 | 의령옹주 정종 소생 - 함양옹주 | 숙신옹주 | 상원옹주 | 인천옹주 ..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12.13
[중국 청나라 섭정왕 도르곤의 계실] 의순공주 (義順公主) 의순공주(義順公主, 1635년-1662년)는 조선 효종의 양녀이다. 종친 금림군 이개윤[주 1]의 딸로 본명은 이애숙(李愛淑)이다. 순치제의 섭정왕이자 계부(繼父)였던 도르곤의 계실(繼室) 대복진(大福晉)이다. 1650년 12월 31일에 도르곤이 사망하여 도르곤의 조카이자 부하 장수였던 친왕 보로(博..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12.13
[노비 출신 시인]정초부(鄭樵夫) 정초부(鄭樵夫, 1714년 ∼1789년)는 조선의 노비 출신의 시인이다.조선 후기 최고 시인들의 작품을 실은 '병세집'에는 정초부의 시가 무려 11수나 실려 있다. 기록에 따르면 정초부는 동원아집(東園雅集)과 같은 양반들의 시회에 초대받아 그들과 함께 시를 지었다.[위키 백과] (서울=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 '시인의 남은 생애는 늙은 나무꾼 신세 / 지게 위에 쏟아지는 가을빛 쓸쓸하여라 / 동풍이 장안대로로 이 몸을 떠다밀어 / 새벽녘에 걸어가네 동대문 제이교를' 조선 정조시대 노비 정초부(鄭樵夫.1714∼1789)가 남긴 시다. KBS 1TV '역사스페셜'은 17일 밤 10시 '노비 정초부, 시인(詩人)이 되다'를 방송한다. 프로그램은 올초 발굴된 정초부의 한시집 '초부유고(樵夫遺稿)'를..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12.05
[유명 암행어사로 잘못 알려진 인물]박문수 (朴文秀) 박문수 朴文秀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1호) 출생 1691년 조선 사망 1756년 (66세) 조선 국적 조선 별칭 자(字)는 성보(成甫) 아호(雅號)는 기은(耆隱) 시호(諡號)는 충헌(忠憲) 직업 문신(文臣) 정치가(政治家) 자녀 양자 1명 부모 박항한(부) 친척 박선 (조부) 이세필 (외조부) 박장원 (증조부) 박..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12.05
최치원(崔致遠, 857년 ~ ?) 최치원 崔致遠 최치원 초상 출생 857년 신라 금성 사량부 사망 ? 신라 가야산 해인사 국적 신라 본관 경주 최씨 별칭 자(字)는 고운(孤雲), 해운(海雲), 해부(海夫) 시호(諡號)는 문창(文昌) 학력 874년 중국 당나라 빈공과에 급제 885년 신라 한림학사 직업 문신, 유학자, 시인, 문장가 종교 유..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11.11
<여성 독립운동가>주세죽(朱世竹) 주세죽(朱世竹, 1901년 6월 2일 ~ 1953년)은 일제 강점기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언론인이며 해외에서 활동한 사회주의 운동가이기도 하다. 사회주의 여성 단체인 조선여성동우회, 조선여성해방동맹 등을 조직, 결성하였으며,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활동하다 투옥당하기도 했..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9.28
<구 소련에서 일제 밀정으로 처형 당한 독립운동가>김단야(金丹冶) 김단야 출생 1899년 1월 16일 대한제국 경상북도 김천 사망 1938년 2월 13일 (39세) 소련 사인 처형(총살형) 국적 대한제국 별칭 본명 '김태연'(金泰淵) 직업 언론인, 독립운동가 종교 무신론[1] 배우자 고명자, 주세죽 자녀 딸 1명, 아들 김 비탈리이 김단야(金丹冶, 1899년 1월 16일[2] ~ 1938년 2월 13..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9.27
<청백리>인중(仁仲) 鄭甲孫 인중(仁仲) 鄭甲孫 1396(태조 5)∼1451(문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인중(仁仲). 양생(良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부(符)이고, 아버지는 중추원사 흠지(欽之)이며, 어머니는 최병례(崔丙禮)의 딸이다. 문종의 후궁 소용 정씨(昭容鄭氏)의 아버지이다. 1417년(태종 17) 식..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9.09
<일본이 침략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던 선조 대 문신)학봉(鶴峰) 김성일 (金誠一) 김성일 (金誠一, 1538년~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본관은 의성, 호는 학봉(鶴峰), 자는 사순(士純)이다. 퇴계 이황의 제자. 시호는 문충공 서애 류성룡과 함께 퇴계의 학문을 이어받은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초유사로 순절하였다. 1590년 일본에 통신사 부사로 갔다와서 일본..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