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대 남한산성 축성 관련 인물>장군 이회/축성 총 책임자 이서 장군 이회 매 바위엔 억울한 죽음 이회 장군 설화 어장대 앞마당 끝에는 매 바위가 자리하고 있다. 이 바위는 축성 당시 억울한 누명으로 처형당한 이회 장군의 설화를 담고 있다. 축성 총책임자인 이서는 북쪽 성은 벽암 각성대사에게, 남쪽 성은 이회 장군에게 각각 맡겨 성을 쌓게 했..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8.27
<조선 중기(중중~선조) 청백리>청련 거사(靑蓮居士) 이후백(李後白) 이후백(李後白) 이칭/별칭 계진(季眞),청련거사(靑蓮居士),문청(文淸)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용소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성운 [상세정보] 이성운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20년연표보기 - 이후..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8.22
<노비 출신 장군>정충신(鄭忠信) <영정: 중요민속자료 36호> 정충신(鄭忠信, 1576년 ~ 1636년 5월 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晚雲), 본관은 하동(錦城)이며,[1] 전라도 나주의 노비 출신이다. (아버지는 광주 향청(鄕廳)의 좌수(座首) 윤(綸)이고, 어머니는 노비 신분이라 어머니의 신분을 ..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7.22
<임진왜란 관련>김응서(金景瑞) 김응서(金景瑞, 1564년~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흔히 김경서라고도 불린다. 본관은 김해. 생애 무과에 급제해 1588년 감찰이 되었으나 집안 문제로 파직되었고 임진왜란 때 다시 재등용되어 제1차 평양 전투에서 대동강을 건너려던 일본군을 막아 평안도방어사가 되었다. 1593년에는 ..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7.19
<임진왜란 관련>김명원(金命元) 김명원(金命元):1534(중종 29)∼1602(선조 35). 조선 중기의 문신. 승지 김만균의 아들이자 이황의 문인으로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61년 식년문과에 급제해 1569년 종성 부사가 되고 내외직을 거쳐 1587년 좌참찬으로 의금부지사를 겸했다. 1589년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수습해 평난공신 3등에..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7.16
<임진왜란 관련>김륵(金玏) 김륵(金玏, 1540년 ~ 1616년)은 조선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학자이다. 본관은 예안, 자는 희옥(希玉), 호는 백암(栢巖)이다. 시호는 민절(敏節).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도 안집사와 체찰부사로 민심 수습에 기여하였으며, 진주에서 이순신을 만난 뒤 그가 백의종군할 때 구명운동을 벌였..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7.16
<임진왜란 관련>조호익(曺好益 ) 조호익(曺好益 )1545(인종 1)∼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사우(士友), 호는 지산(芝山). 창원 출생. 사옹원정 치우(致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정랑 효연(孝淵)이고, 아버지는 증좌참찬 윤신(允愼)이다. 어머니는 인동 장씨(仁同張氏)로 선략장군(..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7.14
<임진왜란 관련>원호(元豪 ) 원호(元豪 )1533(중종 28)∼1592(선조25).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중영(仲英).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송수(松壽)이며, 어머니는 순흥안씨(順興安氏)로 생원 순(珣)의 딸이다. 김덕수(金德秀)에게 글을 배워 어려서부터 경사(經史)에 통달하여 촉망을 받았으며, 김육(金堉)의 ..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7.14
<임진왜란 당시 최초로 승리를 거둔 "신각" 처형을 주도한 우의정>유홍(兪泓) 유홍(兪泓, 1524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지숙(止叔), 호는 송당(松塘).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기창(起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서 여림(汝霖)이고, 아버지는 생원 관(綰)이며, 어머니는 의령 남씨(宜寧南氏)로 증사복시정(贈司僕寺正) 충세..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7.13
<임진왜란 당시 무장> 신각(申恪) 신각(申恪, 생년 미상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평산. 생애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신경안(申景顔)이다. 작은아버지 신경민(申景閔)에게 입양되었다. 무과에 급제하고 선조 초에 연안·영흥의 부사를 거쳐, 1574년(선조 7) 경상좌수사, 1576년에 경상우병사를 역임하였.. ♣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201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