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146

魚玄機/晩唐- <강릉수망기자안(江陵愁望寄子安)>/<강릉수망유기(江陵愁望有寄)>

강릉수망기자안(江陵愁望寄子安)&gt;/&lt;강릉수망유기(江陵愁望有寄) 어현기(魚玄機/晩唐), 楓葉千枝復萬枝 江橋掩映暮帆遲(풍엽천지부만지 강교엄영모범지) 憶君心似西江水 日夜東流無歇時(억군심사서강수 일야동류무헐시) 단풍잎은 천 가지 만 가지에 나부끼고 강가 다리에 가려진 ..

☞ 무명씨(無名氏/脩)- <독곡가(讀曲歌)> (八十九首其三十三)

☞ 무명씨(無名氏/脩) &lt;독곡가(讀曲歌)&gt; (八十九首其三十三) 桃花落已盡 秋思猶未央 [도화락이진 추사유미앙] 春風難期信 托情明月光 [춘풍난기신 탁정명월광] 복사꽃 벌써 다 떨어졌는데 가을날의 그리움은 아직 다하지 않았네 봄바람은 소식 기약하기 어려워 그 마음 밝은 달빛에 ..

설용(薛鏞/淸), <주중무사 위요장잡제화선(舟中无事 爲姚丈雜題畵扇)> (四首其一)

설용(薛鏞/淸) &lt;주중무사 위요장잡제화선(舟中无事 爲姚丈雜題畵扇)&gt; (四首其一) 江上層巒聳翠鬟 蘇家詩筆米家山 扁舟一棹春風穩 行到揚州第幾灣 (강상층만용취환 소가시필미가산 편주일도춘풍온 행도양주제기만) 강가 겹겹의 산은 비취빛으로 솟았는데 소가는 시필이요, 미가는 ..

한유(韓愈/唐), <유서림사제소이형낭중구당(游西林寺題蕭二兄郎中舊堂)>

한유(韓愈/唐) &lt;유서림사제소이형낭중구당(游西林寺題蕭二兄郎中舊堂)&gt; 中郞有女能傳業 伯道无兒可保家 偶到匡山曾住處 幾行衰淚落烟霞 (중랑유녀능전업 백도무아가보가 우도광산증주처 기행쇠루락연하) 채옹에게 딸이 있어 가업을 전할 수 있었고 백도에게 아들이 없었으나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