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숙륜(戴叔倫/唐), <춘강독조(春江獨釣) 獨釣春江上 春江引趣長 斷煙棲草碧 流水帶花香 (독조춘강상 춘강인취장 단연서초벽 유수대화향) 心事同沙鳥 浮生寄野航 荷衣塵不染 何用濯滄浪 (심사동사조 부생기야항 하의진불염 하용탁창랑) 봄 강에 홀로 낚싯대 드리우니 봄 강이 흥취 길게 끌어오네 외로운 연기는 푸른 풀숲에 깃..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3.28
왕검추(王劍秋), <청산기리입연하(靑山幾里入烟霞)> 靑山幾里入烟霞 驢背尋春未覺賖 (청산기리입연하 여배심춘미각사) 流水小橋歸路晩 隔徑遙見野人家 (유수소교귀로만 격경요견야인가) 청산은 몇 리나 안개와 노을 속에 잠겼나 나귀타고 봄 찾아 나서니 때 이른 줄 모르네 시냇가 작은 다리로 돌아가는 길 늦은데 길 건너 저 멀리 농부들..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3.12
양만리(楊萬里/南宋), <고한(苦寒)> (三首其二) ☞ 양만리(楊萬里/南宋), <고한(苦寒)> (三首其二) 添盡紅爐著盡衣 一杯方覺暖如癡 (첨진홍로착진의 일배방각난여치) 人言霜後寒無奈 春在甕中渠不知 (인언상후한무내 춘재옹중거부지) 화로에 땔감 다 보태고 옷 다 껴입고도 한 잔 마셔야 비로소 알지 멍한 듯 따뜻함을 서리 내린 뒤..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3.07
歲殘 - 공숙(宋末,元初) 歲殘 歲殘春雨初 晨興人意舒 萱草侵階綠 慈鴉巢樹疎 세잔춘우초 신흥인의서 훤초침계록 자아소수소 耕鋤餘幾壟 門巷愛吾廬 休笑玄晏病 時翻架上書 경서여기롱 문항애오려 휴소현안병 시번가상서 세밑에 처음 봄비 내리고, 일찍 일어나니 마음이 느긋해지네 원추리는 섬돌에 파랗게 ..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3.05
本是山中人 - 작자미상 本是山中人 - 작자미상 本是山中人(본시산중인) 본시 산에서 사는 사람이라 愛說山中話(애설산중화) 산중 이야기 하는 걸 즐겨한다 五月賣松風(오월매송풍) 오월 솔바람 팔고 싶은데 人間恐無價(인간공무가) 사람들 값 모를까 걱정이로다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2.12
村居雜詩 -劉因 村居雜詩 - 劉因 隣翁走相報(린옹주상보)이웃 노인 달려와 알려주기를 隔窓呼我起(격창호아기)창가에서 부르며 일어나라 하네 數日不見山(수일불견산)며칠 동안 산 보이지 않더니 今朝翠如洗(금조취여세)오늘 아침엔 깨끗하기가 비취색 같다고. 雜詩:일정하게 정해진 형식에 구애받지 ..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2.11
滁州西澗 - 韋應物 滁州西澗-저주의 서쪽 골짜기 - 韋應物 獨憐幽草澗邊生(독련유초간변생) 산골물가에 자라는 그윽한 풀 오로지 좋아하는데 上有黃鸝深樹鳴(상유황리심수명) 위쪽 숲 깊은 곳에선 꾀꼬리 운다 春潮帶雨晩來急(춘조대우만래급) 비 머금은 봄 물결은 해 질 녘에 더욱 빨리 다가오는..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2.07
村晩 - 雷震 村晩 -시골 저녁 - 뇌진(雷震).宋 草滿池塘水滿陂(초만지당수만피) 수초 무성한 저수지엔 물 또한 가득 찼고 山銜落日浸寒漪(산함낙일침한의) 산은 지는 해 머금고 찬 물결 속으로 스며드는데 牧童歸去橫牛背(목동귀거횡우배) 목동은 소 등에 비스듬히 앉아 돌아가면서 短笛無腔信口..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2.05
淸明 - 杜牧 淸明(청명) - 두목(杜牧) 淸明時節雨紛紛(청명시절우분분) 청명 무렵 비 쉴 사이 없이 내려 路上行人欲斷魂(노상행인욕단혼) 길 가던 나그네 넋이 나갔네 借問酒家何處有(차문주가하처유) 주막이 어디에 있느냐고 물으니 牧童遙指杏花村(목동요지행화촌) 목동 멀리 살구꽃 핀 마을 가리..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2.04
小兒垂釣 - 胡令能 小兒垂釣-낚시질하는 어린아이 -胡令能 蓬頭稚子學垂綸(봉두추자학수륜) 머리 헝클어진 어린아이 낚시 배우느라 側坐莓苔草映身(측좌매태초영신) 이끼 옆에 앉으니 풀이 몸을 가리고 路人借問遙招手(로인차문요초수) 길 가던 나그네 길 물어도 손 내저으며 怕得魚驚不應人(파득.. ♣ 한시(漢詩) 마당 ♣/- 중국 漢詩 201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