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美術) 마당 ♣/- 화제시(畵題詩) 79

[중국]☞ 사승(査昇), <수정청화도(水亭淸話圖)> 화제(畵題)

☞ 사승(査昇) &lt;수정청화도(水亭淸話圖)&gt; 화제(畵題) ◇ 청대(淸代) 화가 사승(査昇)의 &lt;수정청화도(水亭淸話圖)&gt; (絹本, 129×50cm 雙飛鸂鶒戀靑莎 對舞蜻蜓爰碧波(쌍비계칙연청사 대무청정원벽파) 한 쌍의 나는 비오리는 청사를 그리워하고, 마주 춤추는 잠자리는 푸른 물결에 닿..

[중국]☞ 남영(藍瑛), <어부도(漁父圖)> (1640年作) 화제(畵題)

◇ 명대(明代) 화가 남영(藍瑛)의 &lt;어부도(漁父圖)&gt; (1640年作, 水墨絹本, 227×98cm) 漠漠湖天合蔚藍 唫廊山下老漁忙 [막막호천합울람 금랑산하로어망] 아득한 호수 위 하늘은 쪽빛으로 물들고, 금낭산 아래 늙은 어부는 바쁘기만 하지 蒓葉短 釣絲長 釣得魚肥醉醉鄕[순엽단 조사장 조득..

[중국]☞ 당인(唐寅), <산장독서도(山莊讀書圖)> 화제(畵題)

◇ 명대(明代) 화가 당인(唐寅)의 &lt;산장독서도(山莊讀書圖)&gt; (設色絹本, 93×50.5cm) 撼地風聲破午眠 懶拈書卷興茫然(감지풍성파오면 나념서권흥망연) 땅을 흔드는 바람 소리 낮잠을 깨우고, 나른히 서권 집어 드니 더욱 멍해지네 山僮報道茶初熟 掛起西窗浪接天 (산동보도다초숙 괘기..

[중국]☞ 해강(奚岡), <포금방우도(抱琴訪友圖)> (1794年作) 화제(畵題)

◇ 청대(淸代) 화가 해강(奚岡)의 &lt;포금방우도(抱琴訪友圖)&gt; (1794年作, 紙本, 132×43cm) 抱琴何處去 爲訪輞川君(포금하처거 위방망천군) 거문고 안고 어디로 가시나, 망천의 벗님 찾아 간다네 流水高山意 寥寥指白雲 (유수고산의 요요지백운) 유수고산의 뜻 무엇일까, 조용히 흰 구름 가..

[중국]☞ 고극공(高克恭/元)- <방노미운산도(倣老米雲山圖)>/<추산모애도(秋山暮靄圖)>

◇ 원대(元代) 화가 고극공(高克恭)의 &lt;추산모애도(秋山暮靄圖)&gt; 권(卷) (設色紙本, 47.5×84cm) 靑山半晴雨 遙現行雲底[청산반청우 요현행운저] 청산은 비 온 뒤 반쯤 갰고, 멀리 낮게 깔린 구름 나타나네 佛髻欲爭姸 政恐勤梳洗[불계욕쟁연 정공근소세] 빼곡한 나무는 아름다움 다투는..

☞ 장대천(張大千),-<엄릉뢰도(嚴陵瀨圖)> 경편(鏡片) (1946年作) 제시(題詩)

◇ 근현대 중국화가 장대천(張大千)의 &lt;엄릉뢰도(嚴陵瀨圖)&gt; 경편(鏡片) (1946年作) 山繞長堤水繞沙 竹林深處有人家[산요장제수요사 죽림심처유인가] 산은 긴 둑, 물은 모래톱 에둘렀는데, 대숲 깊은 곳에 인가가 있네 十年記得江村路 傍舍疏籬無數花[십년기득강촌로 방사소리무수화]..

[스크랩] 王維 詩意圖를 통해 본 朝鮮 文人들의 理想

. 王維 詩意圖를 통해 본 朝鮮 文人들의 理想 조 인 희* Ⅰ. 머리말 Ⅱ. 理想鄕과 理想像의 추구 1. 桃源과 輞川- 이상향에 대한 동경 2. 隱者의 삶 - 儒者의 지향 Ⅲ. 화면 표현의 특징 1. 정형화된 도상의 실경 산수 표현 2. 중국화보의 영향과 인물 표현의 변화 Ⅳ. 맺음말 Ⅰ. 머리말 唐代 ..

[중국] 문징명(文徵明)- <계교책장도(溪橋策杖圖)> 화제(畵題)

◇ 명대(明代) 화가 문징명(文徵明)의 &lt;계교책장도(溪橋策杖圖)&gt; (墨筆紙本, 95.8×48.7cm) ☞ 문징명(文徵明), &lt;계교책장도(溪橋策杖圖)&gt; 화제(畵題) 短策輕衫爛漫游 暮春時節水西頭[단책경삼난만유 모춘시절수서두] 짧은 지팡이 말쑥한 저고리에 산뜻한 나들이, 늦은 봄 어느 날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