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美術) 마당 ♣/- 화제시(畵題詩) 79

추사 김정희 선생의 세한도(歲寒圖) 발문(跋文)

위 글은 추사 선생이 그리고 쓴 세한도 중 그림 왼쪽에 붙어 있는 글-발문이라고 합니다-입니다. 세한도는 교과서에까지 나온 그림이라 우리 옛그림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익히 잘 알 정도로 유명한 그림이지만 글의 내용까지 알고 있는 분은 많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세한도는 1844년에 종이에 수묵으로 그렸고 크기는 23.7x108.2(1389)cm, 소장자는 개인(손창근)이고 국보 제 180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발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지난 해 만학집과 대운산방문고 두 책을 부쳐 주었고 (去年,以晩學大雲二書寄來 -거년이만학대운이서기래) 금년에는 또 황조경세문편을 부쳐주었소. (又以우畊文編寄來 우이우경문편기래)* 우:蕩자의 밑 偶의 인변 대신 삼수변. 이 책들은 모두 세상에 있는 것..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선생 '자화상' 화제

위 그림은 표암 강세황 선생의 자화상입니다. 1782년경에 비단에 채색으로 그려졌고 크기는 88.7x51cm, 소장처는 국립박물관입니다. 위 그림 상단 1/3을 차지하고 화제가 쓰여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저 사람이 누구인고? 수염과 눈섭이 새하얀데 (被何人斯髥眉皓白-피하인..

북산(北山) 김수철(金秀哲) 선생의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화제

위 그림은 북산 김수철 선생이 그린 '하경산수도'란 그림입니다. 종이에 수묵담채로 그렸고 크기는 114x46.5cm, 소장처는 삼성미술관입니다. 그림 바른 쪽 위에 화제시가 쓰여 있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낚시하기에 물려 몇번이나 돌아갈까 생각했지만 (幾回倦釣思歸去-귀회권..

오원 장승업 선생의 '호취도(豪鷲圖)' 화제

위 그림은 오원 장승업 선생이 그린 '호취도'입니다. 독수리의 호기있는 모습을그린 그림이란 뜻이겠지요.?^^ 종이에 수묵담채로 그렸고 크기는 135x55cm,소장처는 삼성미술관입니다. 이 그림 왼쪽 위 부분에 화제가 쓰여 있는데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땅 넓고 산 높아 장한 의기 ..

초정 박제가 선생의 '어락도(魚樂圖) 화제

위 그림은 초정 박제가 선생이 그린 '어락도'란 그림입니다. 종이에 수묵 담채로 그렸고 크기는 27.0x33.5cm, 소장처는 개인인 것 같습니다.(책에 표기 없음) 실학자로 잘 알려져 있는 선생이 그림을 그렸다는 것이 뜻밖인데 실제로 산수,화조 등을 모두 잘 그렸다고 합니다. 위 그림 오른 쪽 ..

호생관 최북 선생의 '계류도(溪流圖) 화제시

위 그림은 호생관 최북 선생이 그린 '계류도"란 그림입니다. 종이에 수묵담채로 그렸고 크기는 28.7x33.3cm, 소장처는 고려대박물관입니다. 이 그림 좌측 하단에 화제시가 쓰여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도리어 두려운건 시비 소리가 귀에 들리는 것이라 (却恐是非聲到耳 각..

단원 김홍도 선생의 '송하취생도(松下吹笙圖) 화제시

위 그림은 단원 김홍도 선생이 그린'송하취생도'란 그림입니다. 종이에 담채로 그렸고 크기는 109.5x55.0cm, 소장처는 고려대학교 박물관입니다. 이 그림 우측 중간 조금 위 부분에 화제시가 쓰여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 봉의 ..

소당 (小塘) 이재관(李재在寬) 선생의 그림 '오수도(午睡圖) 화제시

위 그림은 이재관 선생이 그린 '오수도'란 그림입니다. 종이에 수묵담채로 그렸고 크기는 122.3x56.3cm,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그림 상단에 화제시가 쓰여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새 울음 오르락 내리락 (禽聲上下-금성상하) 낮잠 자기 이제 좋구나 (午睡初..

이 방운 선생의 그림 '빈풍도첩' 화제시((3)

위 그림은 이 방운 선생이 그린 빈풍도첩 중 '칠월' 6장을 그린 그림입니다. 그림 윗 부분에 화제시가 쓰여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유월에는 아가위와 머루 따먹고(六月食鬱及육-유월식울급육) *육:菽자의 叔대신 奧자 칠월에는 아욱과 콩 쪄 먹는다 (七月亨葵及菽-칠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