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漢詩) 마당 ♣/- 우리 漢詩 544

眞樂在閑居(진락재한거) - 思齋(사재) 金正國(김정국

眞樂在閑居(진락재한거) 思齋(사재) 金正國(김정국,1485~1541) 我田雖不饒(아전수불요) 나의 밭이 비록 넓지 않아도 一飽則有餘(일포즉유여) 한 배 채우기에 넉넉하고 我廬雖阨陋(아려수액루) 나의 집이 비록 좁고 누추하여도 一身常晏餘(일신상안려) 이 한몸은 항상 편안하다네 晴窓朝..

고려후기 한시에 나타난 새의 이미지와 문학적 의미

고려후기 한시에 나타난 새의 이미지와 문학적 의미 河政承 目 次 1. 문제제기 2. 花鳥詩 창작의 史的 전개양상 3. ‘새’의 문학적 형상화와 화조시의 詩的 特質 4. 결어 국문초록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자연의 동?식물은 예부터 시인들의 주된 吟詠의 대상이었다. 그중에서도 꽃과..

梅.蘭.菊.竹 松.蓮.牧丹.木蓮.芭蕉.葡萄 - 詩文硏究

梅蘭菊竹 - 詩文硏究 # 梅 ⊙고산청영(孤山淸影)-외로운 산 맑은 그림자. ⊙암향부동(?香溥動)-옅은 향기가 떠돈다. ⊙조매춘신(早梅春信)-이른 매화 봄소식. ⊙고방독무(孤芳獨茂)-고고히 꽃답고 홀로 무성함. ⊙고방교결(孤芳皎潔)-고고히 꽃답고 맑고 깨끗함. ⊙매죽쌍청(梅竹雙淸)-매화..